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경계, 중추신경, 추체로, 추체외로, 딱딱한 이해, T795

건강 health/=의학 medical science

by 진보남북통일 2024. 6. 18. 14:53

본문

신경계, 중추신경, 추체로, 추체외로,  딱딱한 이해,

내용이 좀 어려운 편이다. 

정신병과 항정신병 약 부작용을 이해하려면 뇌에서 내려오고 올라가는 신경전달을 이해해야 한다.

 

 

출처;

https://blog.naver.com/almostcurable/220909296778

 

추체로(pyramidal tracts)는 대뇌운동피질(primary motor cortex)에서 뻗어나온 신경다발로 수의(隨意)운동을 관장하는 상위 운동 뉴런(upper motor neurons)을 가리킨다. 

추체로는 피라미드세포(추체세포)로 구성된다.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어있는(대뇌 반구) 대뇌피질(주로 1차 운동 피질(primary motor cortex), 보완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2]), 전운동피질(premotor cortex)이 있는)의 layer V 에 위치한 피라미드 세포의 축삭(axon)이 합쳐져서 신경다발을 형성한다.[4] 
운동피질에서 뻗어져 나온 피라미드 세포의 신경다발은 척수(피질척수 corticospinal)나 뇌간(피질연수 corticobulbar)까지 연결되어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게된다. 

 

cranial nerve (뇌신경) : 뇌와 연결된 12쌍의 말초신경. 뇌의 아랫부분에서 나와 척수를 거치지 않고 온몸으로 퍼져있다. image by Google

■ 피질연수 (corticobulbar tract)
피질연수로(corticobulbar tract)는 뇌에서 뇌신경(cranial nerve)으로 신경신호를 전도되는 통로이다. 얼굴과 목의 근육을 조절하며 표정, 씹기, 삼키기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PIC; 피질척수로와 연수피라미드, 추체교차로.

 

----------------------------

■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는 뇌에서 척수를 통해 신경을 전도하는 경로이다. 
대뇌운동피질에서 나온 신경다발은 대뇌각(cerebral peduncle)을 따라 내려와 뇌간과 앞쪽 연수를 지나면서 두 개의 돌출된 형태인 연수 피라미드(pyramids of the medulla)를 형성한다. 추체로(pyramidal tracts)라는 명칭은 피라미드 신경다발이 연수 피라미드를 지나서 붙여진 이름이다.
연수 피라미드 아래에서 대부분의 축삭(axon)이 반대편으로(오른쪽은 왼쪽, 왼쪽은 오른쪽으로) 교차하여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를 형성한다. 교차되지 않은 약 10%의 축삭은 전방피질척수로(anterior corticospinal tract)가 된다.[2] 

피라미드 뉴런(Pyramidal cell, 추세세포)

피라미드 뉴런은 전전두엽피질과 피질척수로를 구성하는 주요 세포 유형이다. 대뇌피질, 해마, 편도체에 분포한다. 수많은 가지를 뻗어 신경신호를 통합하는 역할을 하며 평균적으로 약 30,000개의 흥분성 신호(EPSPs)와 1,700개의 억제성 신호(IPSPs)를 받아들인다.
삼각형모양의 세포체(soma)와 단일 엑손(axon), 커다란 정단 수상돌기(apical dendrite), 다수의 기저 수상돌기(basal dendrites), 수상돌기가시(dendritic spines)로 구성되어 있다.[3] 피라미드 뉴런(추체 세포)이라는 이름은 삼각형 모양의 세포체를 따서 붙여졌다.

 

--------------------------

 

 

---------------------------------

정단수상돌기는 피라미드 세포의 정단에서 두꺼운 단일 가닥으로 뻗어나온다.
피라미드 세포의 기저면에서 나오는 기저수상돌기는 3~5개가 짝을 이루며 수많은 가지를 뻗는다.
수상돌기가시( dendritic spine)는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라미드 뉴런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많은 정보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피라미드 뉴런에 들어오는 대부분의 흥분성 자극(EPSPs excitatory post synaptic potential)을 받아들인다.

상위뉴런과 하위뉴런의 연결 image by google

척수 백질(white matter)을 따라 내려온 축삭(axon)은 척수의 회백질에서 나온 연합뉴런(interneurons)과 시냅스를 형성한다.[2] 대부분의 축삭은 하위 운동 뉴런과 바로 시냅스를 형성하지 않고, 연합뉴런(interneuron)을 중개하여 하부 운동뉴런과 시냅스를 이룬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척수의 전각(anterior horn)에서 이루어진다.[2] 
※ 연합뉴런(interneurons)은 구심성 뉴런과 원심성 뉴런 사이를 연결하여 정보를 처리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