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경계 중추신경 추체로 추체외로 # 26P, T797

건강 health/=의학 medical science

by 진보남북통일 2024. 6. 19. 09:58

본문

신경계 중추신경 추체로 추체외로 # 26P

이해 쉬운 내용,   수정 6월 19일 2024,

 

사진들 있는 화일 첨부; 

4 신경계 추체로 추체외로 ## 26P.docx
1.52MB

 

----------------------------

정신병을 이해하려면 뇌를 이해 해야됨,

그러나 뇌, 신경구조는 어려움,

 

추체로 추체외로; 쉽게 설명,

6.20;

https://www.youtube.com/watch?v=Nsaos8fsXjs&t=168s

 

 

한국어; Vid ; 북툰;

15분 뇌과학(신경과학) 입문;

https://www.youtube.com/watch?v=_ADYQgL6g_Y&t=99s

 

 

신경계의 구조; 쉽게 설명, 보배교수;

20.47;

https://www.youtube.com/watch?v=_LG61PXDqGE

 

 

뇌 구조; 720p

https://www.youtube.com/watch?v=UGBEwWg9JZ8

 

--------------------------

추체로 錐體外路; pyramidal tract,

추체외로 錐體外路; extrapyramidal tract,

 

정신병을 이해하려면 신경계 nerve system, 뇌 brain, 척추 spine 을 이해해야.

정신병은 많은 부분이 뇌와 관계 있으나, 뇌수술로 낫는게 아니다.

정신병을 고친다는 핑계로 뇌수술은 하는것은, 의사가 돈을 벌려고 하는것이지 수술로 낫지 않는다.

-------------------

추체로, 추체외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

 

^^수의근, 불수의근 차이,

Voluntary vs. Involuntary Muscles, Differences,

 

^^수의근 voluntary muscle ; 의지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근육. 가로무늬근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통, 팔, 다리의 근육 따위가 있다.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의 영향을 받으며, 골격근 (skeletal muscle)과 안면근 (facial muscles) 등이 해당한다.

^^수의운동 隨意運動, voluntary movement ; 의지에 따라서 몸을 움직이는 것,

의지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는 근육, 팔을 움직이거나 눈을 깜빡이는 것등,

 

^^불수의 근육 不隨意筋肉 involuntary muscle ;

의지와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근육.

우리가 원하던 말던 움직이는 근육들, 심장이 움직이고, 밥을 먹으면 소화가 된다.

내장근의 대부분과 심장 근육이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e)의 영향을 받으며, 심장근 (myocardium), 내장근 (visceral muscle) 등이 해당한다. 수의근과 불수의근 모두, 신체 거의 모든 곳에 분포하고 있다.

 

^^불수의운동, involuntary movement ; 우리 몸의 일부분이 의식 또는 의지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무도병, 간질, 척수손상, 파킨슨병 등이 있다.

--------------------

*추체로 錐體路; pyramidal tract,

피라미드로(pyramidal tract) 또는 추체로(錐體路)는 대뇌 겉질의 운동 영역과 감각 영역에서 시작하여 숨뇌의 피라미드를 지나 척수로 내려가는 신경 섬유 다발이다.

의지적 운동을 지배하며 말초에서 올라가는 감각을 조정하는 데 관여한다.

 

*추체외로 錐體外路; extrapyramidal tract,

추체외로; 골격근의 근긴장 및 운동을 반사적으로 지배하는 신경로(路)의 총칭.

이 추체외로계에 장애가 발생하면 파킨슨병에서 볼 수 있는 근긴장과 진전, 무도병, 일정한 방향이 없는 움직임, 근긴장이상, 간대성 근경련 등 불수의운동을 일으킨다

------------------

참고;

Descending Tracts;

https://teachmeanatomy.info/neuroanatomy/pathways/descending-tracts-motor/

 

The Descending Tracts - Pyramidal - TeachMeAnatomy

This article is about the descending tract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descending tracts are the pathways by which motor signals are sent from the brain to lower motor neurones. The lower motor neurones then directly innervate muscles to produce

teachmeanatomy.info

 

 

위키백과 : pyramidal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Pyramidal_tracts

 

Pyramidal tract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 corticobulbar tract and the corticospinal tract The pyramidal tracts include both the corticobulbar tract and the corticospinal tract. These are aggregations of efferent nerve fibers from the upper motor neurons th

en.wikipedia.org

 

 

Extrapyramidal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Extrapyramidal_system

 

Extrapyramidal system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onnection between brain and spinal cord In anatomy, the extrapyramidal system is a part of the motor system network causing involuntary actions.[1] The system is called extrapyramidal to distinguish it from the tracts

en.wikipedia.org

 

--------------

복사가능,

https://blog.naver.com/bjgim21/220149177274

 

추체로 추체외로 : 음양(陰陽) 관점에서

 나선운동 / 무게중심 목차로 돌아가기            움직임(mo...

blog.naver.com

 

 

정신병과 항정신병 약 부작용을 이해하려면 뇌에서 내려오고 올라가는 신경전달을 이해해야 한다

 

추체외로; 골격근의 근긴장 및 운동을 반사적으로 지배하는 신경로(路)의 총칭.

이 추체외로계에 장애가 발생하면 파킨슨병에서 볼 수 있는 근긴장과 진전, 무도병, 일정한 방향이 없는 움직임, 근긴장이상, 간대성 근경련 등 불수의운동을 일으킨다

 

움직임(movement)의 종류는 4가지가 있습니다.

1. 반사(reflexes) : 슬개건(patellar tendon), 눈깜빡거림(eye blink) 등

2. 자세운동(postural movement) : 전정척수반사(vestibulospinal reflex)

3. 율동적인 움직임(rhythmic movements) : 걷기, 달리기, 씹기 등 

4. 수의운동(voluntary movement)  : 원하는 대로 몸을 움직임.

 

4가지 움직임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읽어보세요.

 

기타치는 그림 생략, 그림출처 : flic : Larry Jacobsen

의지에 따라서 몸을 움직이는 것을 수의운동(隨意運動, voluntary movement)이라고 합니다.

 

PIC1; movement 그림출처 :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운동 조절계의 설계 :

1) 수의운동 조절 3단계 - 계획(planning), 개시(initiation), 실행(execution) - 는 서로 다른 뇌부위에서 의해서 시행됩니다.

2) 피질연합영역(cortical association areas)에서 움직임을 시행 계획을 세우며, 운동피질(motor cortex)에서 실제적인 움직임의 개시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피질연합영역, 기저핵(basal ganglia) 그리고 소뇌(cerebellum)가 계획과 관련됩니다.

3) 뇌간(brainstem)과 척수(spinal cord)의 알파운동신경(alpha motor neurons) 때문에 움직임이 실행됩니다.

4) 소뇌는 미세한 움직임을 맡기 때문에 소뇌는 계획 및 실행과 관계됩니다.

 

수의운동은 주로 기저핵과 소뇌 그리고 연합영역의 자극(정보)을 받은 대뇌의 운동영역에서

추체로(錐體路, pyramidal tract ; PT)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또한 소뇌와 기저핵의 되먹임경로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내가 원하는 대로 몸 전체의 움직임을 동시에 만들어 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의식하지 않아도 움직임이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 움직임 경로를

추체외로(錐體外路, extrapyramidal tract ; EPT) 라고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추체로(PT)와 추체외로(EPT)를 음양(陰陽) 관점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관련 내용은 여기를 중심으로 소개하겠으며, 여기에서 부족한 내용은 추가하였습니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CNS)와 말초신경계(PNS)로 구성됩니다.

PIC2; 사람, 신경계(神經系, nervous system) 그림출처 : 위키백과

 

우리의 몸은 외계(外界)와 내계(內界)의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데, 이것은 신경계(神經系, nervous system)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신경계는 크게 2개로 구분합니다.

 

1. 중추신경계 (中樞神經系, central nervous system ; CNS)

-뇌(brain), 척수(spinal cord)

2. 말초신경계(末梢神經系, peripheral nervous system ; PNS)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말초신경

 

말초신경계(PNS)를 통해서 수집된 여러 자극(정보)은 중추신경계(CNS)에 보내져 통합하고 분석합니다. 그리고 반응이 필요할 경우 중추신경계는 말초신경계에 자극을 보냅니다.

 ----------------

PIC3; 신경세포 그림출처 : 위키백과

 

신경세포(neuron)는 신경계의 기능적 단위를 말하며, 말초신경의 경우 위 그림과 같습니다.

수상돌기(dendrite)를 통해 역치 이상의 자극신호를 받으면 신경세포체에서 활동전위가 발생하며, 이 자극은 축삭을 통해 축삭종말로 전달됩니다.

축삭종말은 다른 뉴런과 연접(synapse)을 통해 전기적, 또는 화학적 자극을 전달합니다.

 

중추신경계인 뇌(腦, brain)는 신경계의 기본단위인 신경세포(neuron, 뉴런, 神經原 신경원)와 그것을 지지(支持)하는 신경교세포(神經膠細胞, Neuroglia)로 구성됩니다.

뇌의 신경세포 개수는 약 1,000억개이며, 신경교세포의 크기는 신경세포의 1/10정도이지만 개수는 약 10배정도인 수천억개로 추정된 답니다.

 

PIC4; 빨간바탕, 뇌 brain 그림출처 : 위키백과

 

뇌의 (정중)시상면 모습으로, 뇌에서 척수(spinal cord)로 연결되는 구조물을 볼 수 있습니다.

1.대뇌(cerebrum)  2.시상(thalamus)  3.시상하부(hypothalamus) 

4.중뇌(mesencephalon - midbrain)  5.교뇌(pons) 6.소뇌(cerebellum)

7.연수(medulla oblongata) 8.척수(medulla spinalis)

 --------------

사람 뇌의 안쪽 구조를 보기 위해서 뇌를 전두면 방향으로 자른 절단면의 모습입니다.

1.대뇌(cerebrum) 2.시상(thalamus) 3.중뇌(mesencephalon ; midbrain)

4.뇌교(pons) 5.연수(medulla oblongata) 6.척수(spinal cord)

 

PIC5; 뇌 자른 단면, brain sectional, 그림출처 : 위키백과

 

뇌는 신경세포가 밀집되어 어둡게 보이는 회백질(灰白質, grey matter ; 주로 겉부분)과 신경섬유(수초로 둘러 싸인 축삭)가 모인 백질(白質, white matter ; 주로 안부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경세포는 뇌의 겉부분 뿐만 아니라 소뇌의 피질, 기저핵(basal ganblion), 시상(thalamus), 여러 신경핵(nucleus), 그리고 척수 회백질(gray matter) 등에도 모여 있답니다.

-------------------

뇌의 횡단면 모습입니다. 뇌의 각 부분들은 신경섬유 다발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경섬유는

1) 같은 대뇌반구와 연결하는 연합섬유(聯合纖維, association fiber ; 위 그림), 

2) 반대쪽 대뇌반구와 연결하는 교차섬유(交叉纖維, commissural fiber), 그리고

3) 대뇌보다 아래에 위치한 부위와 연결하는 투사섬유(投射纖維), projection fiber)가 있습니다.

PIC6; 빨간 섬유 뇌 횡단면, 그림출처 : 위키백과

 

백질을 이루는 신경섬유(nerve fiber)는 축삭으로 구성됩니다.

이 축삭들은 기능이 동일하고, 같은 부위로 가는 것들이 모여서 다발

-신경로(tract), 신경다발(fascicle), 섬유단(funiculus)- 을 이룹니다.

대뇌반구는 서로를 연결하는 다양한 신경다발에 의해서 더 복잡한 기능을 갖습니다.

 

PIC7; 운동 motor, 상행로 ascending tract, 하행로 descending tract,

 

오름길, 상행로, 상행성전도로(ascending tract)는 외계(外界)로부터 받은 자극정보를 감각기관(sense organ)을 통해서 뇌(brain)로 보내는 경로를 말하며, 구심성(afferent)과 같은 의미입니다.

내림길, 하행로, 하행성전도로(descending tract)는 뇌의 반응정보를 근섬유, (내외)분비샘과 같은 효과기관(effector organ)으로 보내는 경로를 말하며, 원심성(efferent)과 같은 의미입니다. 전도로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읽어보세요.

상위운동신경원은 억제, 흥분의 2가지기능을 갖지만, 하위운동신경원은 흥분 기능만 갖습니다.

 

몸의 움직임은 중추신경계(CNS)의 하행성전도로(descending tract)를 통해서 전달되며, 그 운동경로는 기능적으로 다시 2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추체로(PT, Pyramidal Tract )

-이 경로들은 운동섬유가 대뇌의 피질에서 시작하여 뇌간(brain stem)과 척수(spinal cord)로 연결됩니다. 이것들은 몸(body)과 얼굴 근육의 수의적인 조절을 합니다.

 

2. 추체외로(EPT, ExtraPyramidal Tract)

이 경로들은 운동섬유가 뇌간에서 시작하여 척수에 연결됩니다. 이것들은 근육의 긴장(muscle tone), 균형, 자세, 보행과 같은 모든 근육의 불수의적이며 자동적인 조절을 담당합니다.

 

하행성 경로는 뇌에서 시작한 상위운동신경원이 끝나는 부위에서 하위운동신경원과 연접(synapses)을 이룹니다. 상위운동신경원의 세포체(cell body)들은 대뇌피질, 뇌간에서 발견되고, 축삭은 중추신경계(CNS)에 위치합니다.

------------------

1. 추체로 (pyramidal tract ; PT)

연수와 교뇌(pons)를 앞에서 바라본 모습. 연수를 앞방향에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각뿔(pyramid) 모양처럼 돌출된 부위를 지나는 (하행성)신경(통로)을 추체로(Pyramidal Tract)라고 합니다.

 

PIC8; 회색 각뿔; 그림출처 : 위키백과

 

추체로(PT)는 대뇌피질에서 시작된 신경전도로 중에서 연수(延髓, medulla oblongata)의 피라미드(pyramid ; 추체錐體)부위를 통과한 후 척수의 전각에 위치한 운동신경원에 연결(연접)되는 신경다발을 말합니다.

--------------------

PIC9 ; 왼쪽 파랑 빨강 곡선 / 척추 횡단면, 그림출처 : 위키백과

 

1) 척수전각(anterior horn of the spinal cord) :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말초신경으로 내려보내는 작용을 합니다.

2) 척수후각(posterior horn of the spinal cord) : 감각과 관련된 정보를 중추신경으로 올려보내는 작용을 합니다.

3) 전근(anterior root)

4) 후근(posterior root)

 

추체로(Pyramidal Tract)는 몸의 수의운동을 조절하는데, 다시 기능적으로 크게 2개의 경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CST); 피질척수로는 신체 몸의 근육계통을 조절합니다.

2) 피질연수로(corticobulbar tract ; CBT) 피질연수로는 머리와 목의 근육계통을 조절합니다.

대뇌의 피질부분은 기능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PIC10; 색있는 뇌, motor and sensory regions, 그림출처 : 위키백과

 

1)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CST)

피질척수로(CST)는 대뇌피질(cerebral cortex)에서 시작되는데, 아래의 부위에서 정보를 받습니다.

- 1차운동피질 (primary motor cortex)

- 전운동피질 (premotor cortex)

- 보조운동영역 (supplementary motor area)

 

이것들은 상행로(ascending tract)의 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체성감각영역(somatosensory area)에서 신경섬유를 받기도 합니다.

 

대뇌피질에서 기원한 후, 신경세포들이 모여서 내포(internal capsule) -시상(thalamus)과 기저핵(basal ganglia)사이에 위치한 백질경로(white matter pathway)- 를 통과하며 내려옵니다.

이 부위는 임상적으로 중요한데, 뇌출혈에 의한 압력에 특히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내포를 지난 후 신경세포는 중뇌(midbrain)의 대뇌각(crus cerebri), 교뇌(pons)를 지나 연수(medulla oblongata)에 들어 갑니다.

연수 아래(inferior) -미측(caudal)- 의 대부분은 다시 2개의 경로로 나눕니다.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ST)의 섬유들은 교차 -반대편으로 넘어가는 것- 를 합니다.

 [약 90%의 섬유] 이것들은 척수(spinal cord)에 내려와 전각(ventral horn) -모든 분절- 에 종지합니다. 전각에서 하위운동신경원(lower motor neurone)은 신체의 근육에 연결됩니다.

 

전측피질척수로(anterior CST)는 추체교차를 하지 않아 동측에 남아서 척수로 내려갑니다. 이것들은 경추와 상위 흉추분절의 전각에 종지합니다.

 

PIC11; 빨간 불꽃,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그림출처 : 위키백과

 

2) 피질연수로(corticobulbar tract ; CBT)

피질연수로는 1차운동피질(primary motor cortex)의 외측에서 시작합니다.

이것들은 피질척수로(CST)와 같은 입력을 받습니다.

섬유들은 모여서 뇌간(brainstem)의 내포(internal capsule)를 통과합니다.

 

신경세포는 뇌신경(cranial nerves)의 운동핵에서 종지합니다.

여기에서 그것들은 얼굴과 목의 근육에 운동신호를 운반하는 하위운동신경원(lower motor neuron)에 연결(synapse)됩니다.

 

임상적으로 피질연수로(CBT) 섬유의 구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들 섬유중 대다수는 양(兩)방향으로 운동신경에 분포합니다.

예를들면 왼쪽 1차운동피질의 섬유는 왼쪽과 오른쪽 시신경(optic nerves)에 대해서 상위운동신경처럼 작용합니다. 이러한 규칙에는 약간의 예외가 있습니다.

 

-안면신경(facial nerve)에 대한 상위운동신경원은 반대편에 신경분포를 합니다.

이것은 단지 안면의 아래 1/4에 있는 근육에만 작용합니다.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에 대한 하위운동신경은 단지 반대편 신경에 분포합니다.

-------------------

2가지 추체로(PT)의 대략적인 위치 : 피질척수로(CST)와 피질연수로(CBT)

PIC12; 전형적인 척추신경, typical spinal nerve

 

 

2. 추체외로 (extrapyramidal tract ; EPT)

추체외로는 뇌간(brainstem)에서 기시하여 척수(spinal cord)에 운동섬유를 전달합니다.

이것들은 불수의 그리고 반사적인 근육의 조절 -근육의 긴장,균형,자세,위치- 을 책임집니다.

 

이것은 전체적으로 4개의 경로가 있습니다.

전정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와 망상체척수로(reticulospinal tract)는 교차하지 않고 동측에만 신경분포를 합니다. 적핵척수로(rubrospinal tract)와 시개척수로(tectospinal tract)는 교차를 하므로, 반대측에도 신경분포를 합니다.

------------------

망상세척수로(reticulospinal tract), 적핵척수로(rubrospinal tract), 시개척수로(tectospinal tract)

대뇌 안쪽은 주로 신경섬유(축삭)로 구성되어 있지만, 안쪽 깊숙한 곳에는 신경세포가 모인 회백질 덩어리인 신경핵이 있습니다. 추체외로는 주로 뇌의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러한 신경핵에서 운동경로가 시작됩니다.

PIC13; 4가지 추체외로(EPT)의 대략적인 위치 : 전정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

 

1) 전정척수로(前庭 脊髓路, vestibulospinal tract)

전정척수로는 2개 -내측과 외측- 가 있습니다. 이것은 머리의 균형에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전정핵(vestibular nuclei)에서 시작됩니다. 이 경로는 동측의 척수에 균형정보를 전달합니다.

이 경로의 섬유들은 하위운동신경원을 통해서 항중력근육 - 팔의 굴곡근, 다리의 신전근 - 을 자극하여 균형과 자세를 조절합니다.

 

2) 망상체척수로(網狀體脊髓路, reticulospinal tract)

2개의 망상체척수로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습니다.

- 내측 망상체척수로는 교뇌에서 기시합니다. 이것은 수의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증가시킵니다.

- 외측 망상체척수로는 연수에서 기시합니다.

이것은 수의운동을 억제하고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킵니다.

 

3) 적핵척수로(赤核脊髓路, rubrospinal tract)

적핵척수로는 중뇌(midbrain) 구조물인 적핵(red nucleus)에서 기시합니다.

섬유들은 반대측으로 교차하여 척수에 내려갑니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반대측에 신경분포를 갖습니다.

이것의 정확한 기능은 명확하지 않지만, 이것은 손의 섬세한 조절과 관계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4) 시개척수로(視蓋脊髓路, tectospinal tract)

이 경로는 중뇌의 상구(superior colliculus)에서 시작합니다.

상구는 시신경(optic nerves)에서 입력을 받는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신경세포는 재빨리 교차되어 척수에 들어갑니다.

이것들은 척수의 경추레벨에서 종료합니다.

----------------------

시개척수로는 시야자극(vision stimuli)과 관계한 머리의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추체로(PT)와 추체외로(EPT)의 주요 경로. 자료 출처 : 《사람생리학》

PIC14; 도표,

--------------------

PIC15; 화살표 그림, 움직임의 회로설계(circuit design) 경로 :

 

1) 대뇌피질(cortex)에서 뇌간(brainstem)까지인 피질척수로(CBT)와 척수(spinal cord)까지인 피질척수로(CST).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ST)는 신체(body)에 명령을 전달 (예 : 피아노 연주, 탭댄스). 전측피질척수로(anterior CST)는 체간근육(trunk muscle)을 조절 (예 : 훌라후프, 코어운동)

2) 대뇌피질, 뇌간 그리고 척수는 모두 감각수용기(sensory receptor)에서 입력을 받습니다.

3) 게다가 부가적이며 독립적인 피질하 체제(subcortical system)인 소뇌 및 기저핵과 관련된 되먹임고리(feedback loop)들은 뇌간과 피질수준에서 활동을 조절합니다. 특히 소뇌와 기저핵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이 없고, 최종공통경로(final common pathway)라는 것에 주목해야 합니다.

4) 운동조절이 3개의 독립된 레벨을 갖는다고 생각하면 척수쇼크(spinal shock), 대뇌제거경축(decerebrate rigidity ; 중간뇌 손상), 피질제거경축(decorticate rigidity ; 중간뇌 이상 손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합니다. 그림출처 :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그런데 척수외로(EPT)는 주로 뇌간에서 시작되는데, 이 뇌간에 위치한 핵들은 어느 곳에서 자극(정보)을 받아들일까요?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뇌간의 핵들은

1) 척수를 통해 말초신경에서 들어오는 감각정보,

2) 소뇌에서 들어오는 정보

3) 대뇌피질 –기저핵–시상– 대뇌피질의 되먹임고리를 통한 대뇌피질의 정보를 받는다고 합니다.

---------------

배아기의 뇌는 vesicles이라 부르는 신경관의 내측세포들이 팽창하고 융기 되면서 복잡하게 발전하는데, 처음에는 3개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나중에는 5개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PIC16 ; 꽈리 모양,

 

이제부터는 이러한 기능들을 음양(陰陽)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뇌는 발생학적으로 3개 구획에서 5개 부위로 분화됩니다.

뇌를 상하(上下)로 재배치한다면

대뇌부위가 위[上]에 위치하여 양(陽)으로,

간뇌(중뇌 + 교뇌 + 연수) 부위는 아래[下]에 위치하여 음(陰)으로 취상(取象)할 수 있습니다.

PIC17; 척추 spinal cord

 

척수로(PT)와 척수외로(EPT)의 대략적인 부위 차이 :

척수로는 대뇌피질에서 시작하며, 척수외로는 뇌간(중뇌+교뇌+연수)에서 시작합니다.

 

또한 수의운동은 그 움직임이 의지와 관계하므로 양(陽)으로 취상 할 수 있으며, 그 시작부위도 위[上]인 양(陽)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불수의운동은 의지와 무관하므로 음(陰)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시작부위도 아래[下]인 음(陰)으로 볼 수 있습니다.

 

PIC18; 회색, 신피질-neocortex, 빨간색 파충류뇌-reptilian brain,

 

사람의 뇌는 진화기간동안 발전된 3개의 뇌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1) 파충류뇌(爬蟲類腦, reptilian brain).

2) 대뇌변연계(大腦邊緣系, limbic system).

3) 신피질(新皮質, neocortex)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뇌를 3개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내외(內外)의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1) 가장 안쪽[內]에 위치한 시상, 시상하부, 중뇌, 교뇌, 연수 부위인 파충류뇌(爬蟲類腦, reptilian brain)는 기본적 생명활동과 관련한 부위로 음(陰)으로 취상할 수 있습니다.

2) 그 밖[外]으로 대뇌중 고피질과 구피질에 해당하는 대뇌변연계(大腦邊緣系, limbic system)가 있습니다. 이 부위는 감성(感性 ; 리理, 4단四端)과 관련된 부위입니다.

3) 가장 바깥부위[外]인 전두엽을 포함한 신피질(新皮質, neocortex)은 이성(理性 ; 기氣, 7정七情)이 이루어지는 부위로 양(陽)으로 취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외(內外)의 관점으로 "외(外)에 위치하여 양(陽)으로 불 수 있는 대뇌피질부위에서 양(陽)의 움직임인 수의운동이 시작되고, 내(內)에 위치하여 음(陰)으로 볼 수 있는 뇌간부위에서 음(陰)의 움직임인 불수의운동들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사람 뇌의 구조와 기능》에서 "추체로는 가속계(加速系, accelerate system), 추체외로는 제어계(制御系, control system)에 비유할 수 있다"고 한 것과 일치합니다. 즉 "추체로의 기능은 양(陽)에, 추체외로의 기능은 음(陰)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PIC19; 뇌 단면(번호)을 옆에서 바라본 모습. 뇌의 겉부분이 회색질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뇌부위부위도 회색질로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1. 측뇌실(ventriculus lateralis), 전두각(cornu frontale)

2. 측뇌실(ventriculus lateralis) 중심부(pars centralis)

3. 조거(calcar avis) 4. 측뇌실(ventriculus lateralis), 후두각(cornu occipitale)

5. 측부삼각(trigonum collaterale) 6. 측부융기(eminentia collateralis)

7. 해마(hippocampus) 8. 측뇌실(ventriculus lateralis), 측두각(cornu temporale)

9. 내포(capsula interna) 10. 미상핵(nucleus caudatus) 그림출처 : 위키백과

-------------

대뇌의 겉부분은 주로 신경세포가 모인 회백질(灰白質, grey matter)로 구성됩니다.

 

PIC20; 음양, 중추신경, 말초신경,

 

신경세포의 자극전달 방향은 신경세포체에서 축삭종말방향이므로, 신경세포체의 부위를 양(陽), 그 반대쪽을 음(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계(CNS)에서 겉부분(피질)에는 신경세포체가 많이 모여 있어 육안(肉眼)에서 회백색으로 보이며, 안부분(수질)에는 신경섬유(축삭)이 많아 백색으로 보입니다. 말초신경계(PNS)는 이와 반대입니다.

 

중추신경계(PNS)와 말초신경계(PNS)는 백질(축삭, 신경섬유)과 회백질(신경세포)이 서로 반대로 위치합니다. 이것을 음양(陰陽)의 관점으로 본다면 중추신경계는 외양(外陽)하고 내음(內陰)하며, 말초신경은 그 반대입니다.

-----------------

위 왼쪽 : 중국 송대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 중 일부 그림인 "수화광곽도(水火匡郭圖)".

위 오른쪽 : 말초신경계에서 외계(外界)와 접촉하고, 또한 중추신경계와 짝을 이루면서 원운동(圓運動)을 하는 모습을 요약한 다이아그램(diagram)

아래 : ○(양陽)과 □(음陰)이 서로 교류하는 모습의 문양(紋樣).

 

PIC21; 태극도설,

 

-----------------

중추신경계(CNS)인 외양내음(外陽內陰)과 말초신경계(PNS)인 외음내양(外陰內陽)은 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자극과 반응을 통해 움직임이 만들어집니다.

[물극필반物極必反] 이것을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한다면 어떤 그림이 그려질 까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