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불리 추진한 감세안 역풍에 시달리던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가 결국 취임 45일만인 20일 보수당 대표직을 사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로써 트러스 총리는 서방 선진국 정치사상 유례가 없는 최단임 국가 지도자가 됐다.
트러스 총리를 둘러싼 이번 소동은 대처리즘이라는 40여년 전의 고루한 경제정책에 대한 고집과 불통이 빚은 참사로 기억될 전망이다. 트러스 총리는 보리스 존슨 전 총리가 파티 게이트 등의 스캔들로 물러난 뒤 치러진 집권 보수당 대표 경선에서 파격적인 감세안을 내세워 당선됐다.
고소득층의 소득세와 법인세를 깎아 영국 경제에 활력을 다시 불어넣겠다는 주장이었다.
이를 두고 당 안팎에선 물가오름세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섣불리 감세안을 추진하면, 정부 재정이 악화되고, 서민 고통이 커진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하지만, 보수당원들은 감세안을 지지해 트러스를 당대표로 당선시켰고 결국 총리가 되게 했다.
트러스 총리는 지난달 23일 430억파운드에 달하는 감세안을 담은 ‘2022년 미니 추경 예산안’을 발표했다.
이 안엔 감세를 통해 구멍나는 재정을 어떻게 메울지에 대한 내용은 담겨 있지 않았다.
결국, 시장은 이를 영국 정부가 국채를 대량 발행할 것이란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 결과 런던 금융시장에서 영국 국채의 신뢰도가 떨어지며, 국채의 가격이 폭락했다.
이는 다시 금리 상승과 파운드화 가치 폭락을 불렀다.
영국의 최대 산업인 런던 금융가가 초토화돼 파운드화 가치가 달러 대비 1.1파운드까지 떨어졌다.
시장의 큰 혼란을 목격한 보수당 안에선 감세안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트러스 총리는 오불관언으로 밀고 나갔다. 그녀는 감세안이 영국의 저성장을 타개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고집하며, 불통의 자세를 보였다.
하지만, 결국 시장 혼란 앞에 무릎 꿇었다. 지난 3일 최상위 소득자에게 적용되는 ‘부자감세’를 철회하고, 14일엔 애초 취소하기로 한 법인세 인상(19→25%)을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 같은 날 이번 감세안을 주도한 쿼지 콰텡 재무장관을 경질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감세안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고집을 부렸다.
그러나 콰탱의 후임으로 임명된 제러미 헌트 신임 재무장관은 17일 트러스 총리가 발표한 감세안의 대부분을 사실상 철회한다고 선언했다.
보수당 내에선 트러스 총리가 이미 국정 지도력을 상실했다며, 총리직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집권 보수당의 지지율은 19%까지 자유낙하했다.
트러스 총리가 이런 참사를 벌이고도 고집을 부린 것은 6700만명의 영국 국민과 시장보다 16만명의 보수당 당원들의 이해에 충실했기 때문이다.
그와 8~9월 보수당 대표 경선을 벌였던 이는 존슨 내각에서 법인세 인상을 입안했던 리시 수낵 전 재무장관이었다. 증세에 부정적인 보수당의 기득권 당원들은 감세안에 적극적이었고, 일부는 상속세 폐지까지 주장했다.
보수당은 앞선 2019년 10월 총선에서 의회 내 과반 의석을 80석이나 초과하는 1987년 이후 최대 승리를 거뒀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에 찬성한 노동당의 지지층인 ‘레드 월’이 보수당에 가세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유럽연합 탈퇴로 자국의 노동 대중이 대우받으리라 기대했다.
반면 보수당의 기득권층은 유럽연합 탈퇴로 자유로운 규제 완화와 세금 삭감을 기대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러스 총리가 감세안으로 노동대중을 무시하고 보수당의 기득권층의 이해에만 충실하자 ‘거대한 역풍’이 몰아친 것이다.
이번 소동의 더 근본적인 원인은 트러스 총리가 신봉하는 40년 전의 대처리즘이나 레이거노믹스 등 신자유주의 경제철학이다.
트러스의 감세안은 ‘감세, 규제 완화, 정부 지출 삭감이 경제성장을 촉진해, 그 과실이 하류층으로 흘러내릴 것이다’라는 낙수효과에 기댄 1980년대 초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에 기반한 정책은 당시엔 경기 활성화에 일조했을지 모르지만, 결국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강화하고 국가 부채를 늘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물가가 급격히 오르는 때에 추진되는 감세안은 서민 고통을 늘리는 등 경제에 치명적인 효과를 자아낼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보수당 내에서도 트러스 총리가 추앙하는 마거릿 대처 전 총리였다면 결코 이런 정책을 추진하지 않았을 것이란 ‘쓴 소리’가 이어졌다.
트러스 총리의 이른 낙마는 결국 보수 기득권층만 바라보는 경제 정책을 고집하며 비판에 대해선 ‘성장, 성장, 성장’이라고 반박하는 불통의 모습을 보이다가 벌어진 참사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