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탠포드 대학은 오만한 하버드대 후원금 거절로 창립, T791

교육 Education

by 진보남북통일 2024. 6. 15. 09:31

본문

스탠포드 대학은 오만한 하버드대 후원금 거절로 창립,

발음을 찾아보니 하버드  (하바드가 아님),

 

Stanford University was founded after the arrogant Harvard University refused to accept donation.

 

화일첨부;  7P  안에 사진 추가,

교육 스탠포 하바드대 거절 7P.docx
0.50MB

 

 

사실 확인: 스탠포드 창립은 (오만한) 하버드 거절과 연관되어 있다.

Fact check: Stanford founding was tied to Harvard rejection,

 

https://insideburundi.org/false-this-is-not-the-real-tale-of-how-stanford-university-began/

 

FALSE: This is not the real tale of how Stanford University began | Inside Burundi

Both thee Stanford and Harvard magazines have dismissed the Stanford birth tale. A tale purporting to explain how Stanford University began that is circulating on Facebook is FALSE The tale claims that the United States-based university started after a c

insideburundi.org

 

스탠포드 대학 창립은 오만한 하바드대 후원금 거절로

story about Stanford's founding true Harvard university.

 

사실 확인: 스탠포드 창립은 오만한 하버드 거절과 연관되어 있다.

Fact check: Stanford founding was tied to Harvard rejection,

 

 

 아래 사진, 1878 년 사진 ;

뚱뚱하고 지팡이 짚고 다니는것보니 오래는 못살았을게다.

몇살에 죽었을까?

 

 

이 이야기는 미국에 본부를 둔 대학이 하버드 대학에 아들의 기념비를 세워 달라는 릴런드 스탠포드 부부의 요청이 거절된 이후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The tale claims that the United States-based university started after a couple named Mr and Mrs Leland Stanford’s request to erect a memorial of their son at Harvard University was declined.

 

이들 부부는 하버드대 총장을 만나러 갔을 때 초라한 옷차림을 하고 있었고,

(is shabbily dressed; 초라한 옷을 입고 있다.)

The couple were shabbily dressed when they went to see the Harvard University president the claim states and

 

하버드 비서가 그들을 무시하려 했고,

( brush them off down; 그들을 털어내다.)

the secretary at Harvard tried to brush them off down upon them,

 

(비서) 그녀는 총장이 하루 종일 바빠서 만날 수 없다고 말했다.

and she told them that they could not see the president because he would be busy all day.

 

하지만 (스탠포드) 부부는 기다림에 지치지 않았다.

[not grow(자라다) weary(지친, 피곤한) of waiting; 기다림에 지치지 않다.]

But the couple did not grow weary of waiting.

 

비서가 하버드 총장에게 말하기를

“어쩌면 당신이 그들을 몇 분 동안 본다면 그들은 떠날 것입니다.”

(allegedly; 주장한 바에 의하면)

“Maybe if you see them for a few minutes they will leave,’’

the secretary allegedly told the Harvard president.

 

부부는 하버드 총장에게 아들이 있는데 그 학교에서 1년 동안 공부하고 사랑했지만 안타깝게도 그 아들이 1년 전에 사망했다고 말했습니다.

The couple told the Harvard president that they had a son who studied in that institution for a year and loved it, but unfortunately, he was killed a year ago.

 

부부는 (죽은 아들)그를 기리기 위해 하버드에 기념관을 짓고 싶다고 덧붙였다.

(memorial building; 기념하는 건물)

The couple added that they wanted to erect a memorial building at Harvard in his honour.

 

"건물! 당신은 건물 비용이 얼마인지 알고 계십니까?

[ any earthly idea; 어떤 세속적인 개념,]

“A building! Do you have any earthly idea how much a building costs?

 

;;의견;;

1880’s 년경에 $750만 달러면 지금은 얼마 일까?

 

우리는 여기 하버드의 실제 건물에 $750만 달러가 넘는 돈을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하버드 총장은 부부에게 말했다.

We have over seven and half million dollars in the physical building here at Harvard!’’

the Harvard president told the couple.

;;의견;;

상대방의 의견을 물어보지도 않고,, ‘너같은 넘이 얼마를 기증하려고’라는 편견이 먼저,,

 

그 여성(아내)은 남편에게 그 돈이 대학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유일한(겨우, 별볼일 없는) 금액이라면 그냥 우리의 기관을 시작하는 것이 어떨까요?

The lady allegedly turned to her husband and told him if that’s the only amount it takes to start a university, why don’t we just start our own institution?

 

“릴런드 스탠포드 부부는 일어나서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자신들의 이름을 딴 대학을 설립했다.

“Mr and Mrs Leland Stanford got up and walked away, travelling to Palo Alto, California, where they established the University that bears their name:-

 

스탠포드 대학은 하버드가 더 이상 돌보지 않는 아들을 기리는 기념물입니다.”라고 이야기는 주장한다.

Stanford University, a memorial to a son Harvard no longer cared about,” the tale claims.

 

그런데 스탠포드 대학교가 그렇게 시작됐다구요? 우리는 확인했다.

But is that how Stanford University began? We checked.

-----------------------

하지만 아래 내용부터는 이 사실이 거짓이라는 소문을 퍼뜨리기 시직한다.

왜? 사실을 숨기려 하는가?

 

스탠포드 대학 동창회가 발행한 스탠포드 매거진(Stanford Magazine)은

"물론 그 설명은 틀렸고, 어떤 곳에서는 터무니없다"며 이 소문이 거짓임을 폭로했다.

  - debunk; 폭로하다.

Stanford Magazine, published by the alumni association of Stanford University, debunked the viral tale saying that “the account, of course, is wrong — and, in places, absurd”.

 

잡지는 릴랜드 스탠포드 부부의 아들인 릴런드 주니어가 하버드 대학교를 다닌 적이 없으며 장티푸스로 1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고 밝혔다.

The magazine clarified that Mr and Mrs Leland Stanford’s son, Leland Jr, never attended Harvard University and died at the age of 15 due to typhoid.

--------------------

;;의견;;

스탠포드 부부가 하바드 대학을 방문한게 사실이라면 위 내용이 사실이다.

왜? 스탠포드는 위에서 사실을 밝히면서,, 밑에는 거짓이라고 내용을 추가 하는가?

 

"그의 부모는 하버드 총장인 찰스 엘리엇(Charles Eliot)을 방문했지만 대학에 기부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얻기 위해서였습니다."라고 스탠포드 매거진(Stanford Magazine)의 기사는 밝혔습니다.

“His parents did visit Harvard President Charles Eliot, but only to get advice on how to endow a university,” the article in the Stanford Magazine clarified.

 

잡지는 계속해서 전 캘리포니아 상원의원이 부유한 철도 재벌이었다는 이유로 스탠포드 부부가 초라한 옷을 입고 하버드에 나타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말했다.

;;의견;;

상의원이면 반드시 잘 입고 나타나냐한다고? 어디에 그런 상식이 있나?

 

The magazine continued to say that it is absurd to state that Mr and Mrs Stanford would show up at Harvard shabbily dressed because the former California senator was a wealthy railroad baron.

 

하버드 대학교도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며 근거가 없다는 점을 똑같이 반복했다.

;;의견;;

웃겨, 하바드대는 체면이 깍기니 당연히 거짓 이야기라 하겠지,,

Harvard University equally reiterated that the tale is untrue and unfounded.

 

Harvard Magazine은 한 기사에서 "이것은 헛소문입니다... 혼란에 지치고 있는 하버드(대학)인들을 멈추게 하십시오" 라고 썼다.

단어공부; be an end to; 끝내자. / wilt; 지치다, 시들다, 풀이죽다.

“It’s a canard … Let there be an end to Harvardians wilting in confusion,” Harvard Magazine wrote in an article.

 

그렇다면 순회 (떠도는) 이야기가 거짓이라면 스탠포드 대학교 탄생 뒤에 숨겨진 실제 이야기는 무엇인가? ( 왜 안밝혀? 없는가? )

So if the tale doing rounds is false, what is the real story behind the birth of Stanford University?

 

;;의견;;

근데 스탠포드 부부가 하바드대에 간것도 사실이라면서

푸대접 받은것만 아니라고?

에라!! 치사한 넘들,, 하바드대 학장은 교육이 뭔지도 모르는 seki,

 

스탠포드 대학교 웹사이트에는 스탠포드 부부가 아들을 기념하기 위해 이 학교를 짓기로 결정했다고 나와 있다.

Stanford University website states that Mr and Mrs Stanford decided to build the institution as a memorial to their son.

-------------

“철도의 거물이자 전 캘리포니아 주지사인 Leland Stanford와 그의 아내 Jane Lathrop Stanford는 1884년에 외동아들인 Leland Jr.를 장티푸스로 잃었을 때 가장 적합한 기념관으로 대학을 건립하기로 결정했다.

“When railroad magnate and former California Gov. Leland Stanford and his wife, Jane Lathrop Stanford, lost their only child, Leland, Jr., to typhoid in 1884, they decided to build a university as the most fitting memorial,

 

그리고 캠퍼스가 된 8,180에이커(1 acre = 약 4,050평방미터) 규모의 Palo Alto 목장을 포함하여 막대한 재산을 기부했습니다.”라고 Stanford University 웹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다.
and deeded to it a large fortune that included the 8,180-acre Palo Alto stock farm that became the campus,” the Stanford University website states.

 

;;의견;;

Facebook 에서 다시 찾았더니 사라져버리고 없어져서 이 이야기는 다른데서 찾았다.

 

PesaCheck는 스탠포드 대학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설명한다고 주장하는 Facebook에 유포된 이야기를 조사한 결과 그것이 거짓임을 확인했다.

PesaCheck has looked into a tale circulating on Facebook claiming to explain how Stanford University began and finds it to be FALSE.

 

이 게시물은 Facebook 및 기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잠재적인 잘못된 정보로 표시된 콘텐츠를 조사하는 PesaCheck 사실 확인 시리즈의 일부이다.

;;의견;;

에라이!! 사실을 숨기는 교육자 치사한 seki 들,

This post is part of an ongoing series of PesaCheck fact-checks examining content marked as potential misinformation on Facebook and other social media platforms.

 

PesaCheck와 같은 제3자 사실 확인 조직은 Facebook 및 유사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제휴하여 사실과 허구를 분류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By partnering with Facebook and similar social media platforms, third-party fact-checking organisations like PesaCheck are helping to sort fact from fiction.

 

우리는 대중이 소셜 미디어 피드에서 보는 게시물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과 맥락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행합니다.

We do this by giving the public deeper insight and context to posts they see in their social media feeds.

 

Facebook에서 가짜 또는 허위 정보라고 생각되는 정보를 발견하셨나요? 신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의심스러운 콘텐츠의 사실 확인을 위한 PesaCheck의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Have you spotted what you think is fake or false information on Facebook? Here’s how you can report. And, here’s more information on PesaCheck’s methodology for fact-checking questionable content.

;;의견;;

그러니까 사실이라는거냐 아니라는거냐?

내용은 앞뒤 문맥을 보면 누가 읽어도 사실이다.

 

이 사실 확인은 PesaCheck 사실 확인 담당자 Naomi Wanjiku가 작성했으며 PesaCheck 수석 카피 편집자 Rose Lukalo가 편집했습니다.

This fact-check was written by PesaCheck fact-checker Naomi Wanjiku and edited by PesaCheck chief copy editor Rose Lukalo.

 

이 기사는 PesaCheck의 편집장 대행인 Doreen Wainainah의 출판 승인을 받았습니다.

The article was approved for publication by PesaCheck’s acting managing editor Doreen Wainainah.

- End 끝 -

 

사진 ; 1878 년 ;

뚱뚱하고 지팡이 짚고 다니니 오래는 못살았을게다.

몇살에 죽었을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