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많이 먹으면 동맥경화 암 치매 걸린다.
결론 ;;
두부는 해로울수 있으나 콩은 좋다.
콩에도 부작용이 있으나, 효능이 더 많다.
어느 음식이 좋다고해서 그것만 많이 먹으면 부작용은 발생 한다.
------------
청나라 때의 학자 저인획(褚人獲)은 <견호집(堅瓠集)>이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두부를 예찬하였다.
“두부는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열 가지 덕을 갖고 있다.
첫째 두부는 값이 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검소하게 먹을 수 있는 검덕(儉德)이 있다.
둘째 콩국을 만들어 마시면 몸을 보신할 수 있는 후덕(厚德)이 있다.
셋째 기후풍토에 적응하지 못할 때 다시 말해서 물이 맞지 않을 때 먹으면 즉시 치유되니 조화시켜 주는 화덕(和德)이 있으므로 아낌없는 찬양을 받아 마땅하다.”
--------------------
두부는 맛도 좋고 영양이 풍부한 식품이다.
콜레스테롤이 적고 단백질과 지방이 많이 들어 있다.
두부 100그램에 단백질이 7.4그램이 들어 있으므로 고기 대신 두부를 먹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두부를 먹으면 사람의 몸에는 열 가지 해로움은 있을지언정 단 한 가지의 덕도 얻을 수 없다. 두부는 달걀, 우유, 고기 같은 것 못지않게 사람한테 해로운 식품이다.
두부는 동맥경화와 빈혈, 골다공증, 암, 치매, 갑상선질병, 비만 등의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먼저 두부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장에서 칼슘이나 철, 구리,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이 흡수하지 못하도록 방해한다.
학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두부를 비롯한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을 많이 먹으면 철분 흡수량이 90퍼센트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두부를 많이 먹으면 몸에 철분이 부족하여 빈혈이 올 수도 있고 칼슘이 부족하여 골다공증이 올 수 있다.
빈혈이 오면 늘 피곤하고 졸음이 오며 어지럽고 마음이 약해지며 무서움을 많이 탄다.
두부나 두유 같은 콩으로 만든 여러 가지 제품에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메티오닌 Methionine 이 많이 들어 있다.
두부나 두유 같은 것을 많이 먹으면 몸속에서
메티오닌 Methionine 이 불완전한 신진대사작용으로 인해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 으로 변한다.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 은 동맥혈관의 안벽을 파괴하여 기형세포를 만들어 혈관을 망가뜨리고 죽은피와 기름이 한데 뭉치게 하여 피를 떡처럼 만든다.
따라서 두부를 많이 먹으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동맥의 벽에 달라붙어서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협심증, 심장병 같은 혈관심장계통에 병이 오고
치매, 암, 비만증, 당뇨병, 신부전증 같은 온갖 만성질병에 걸리기 쉽다.
암 환자가 두부를 먹으면 암세포가 훨씬 빨리 자란다.
암 세포는 메티오닌 Methionine 이 없으면 분열하고 성장하고 번식하지 못한다.
메티오닌 Methionine 은 몸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정상세포는 메티오닌 Methionine 이 없어도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암세포가 성장하고 번식하기 위해서는 메티오닌 Methionine 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메티오닌 Methionine 은 달걀, 모든 종류의 고기, 생선, 우유, 콩, 땅콩 등에 많이 들어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을 잘 알고 우리 조상들은
두부를 먹으면 몸이 썩어 죽는다고 하여 콩 두(豆)에 썩을 부(腐)를 써서 두부(豆腐)라는 이름을 만들어 붙였던 것이다.
두부와 두유 같은 콩으로 만든 제품이 아무리 영양은 풍부하다고 해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많이 먹으면 먹을수록 몸에 더 해롭기 때문이다.
두부는 일 년에 두세 번 정도만 먹는 것이 좋다.
두부를 먹으면 다음과 같은 해로움이 있다.
콩은 콩나물로 길러서 먹거나, 장으로 담가서 1년 넘게 발효한 것을 먹어야 아무런 피해가 없다.
두부가 얼마나 무서운 음식인지 콩이 얼마나 해로운지를 모든 사람들이 알아야 한다.
첫째, 동맥경화, 심장병에 잘 걸리고 암세포를 빨리 자라게 한다.
두부와 두유 같은 콩 제품에 많이 들어 있는 메티오닌 Methionine 은 효소의 작용으로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 으로 바뀌어 동맥 혈관 안에 있는 껍질 세포를 파괴하여 혈관을 망가뜨리고 콜레스테롤이나 피떡이 동맥벽에 잘 달라붙게 하여 동맥경화를 일으킨다.
특히 암 환자는 절대 두부를 먹지 말아야 한다.
암세포가 성장하고 번식하려면 메티오닌Methionine 같은 단백질이 반드시 필요하다.
암세포는 육식동물과 같아서 설탕과 단백질을 먹고 자란다.
설탕이나 꿀 같은 달콤한 것을 먹지 않고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은 암에 걸리고 싶어도 걸릴 수가 없다.
한 가지 예외가 있는데 콩이나 두부, 두유 같은 것을 즐겨 먹는 사람은 암에 쉽게 걸릴 수 있다.
나는 지금까지 암 환자를 수천 명 만나 보았는데 대부분이 달콤한 것과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었다.
수천 명 중에 고기를 전혀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가 다섯 사람이 있었는데 다섯 사람 모두가 고기 대신 두부와 콩을 열심히 먹은 사람들이었다.
둘째, 통풍(痛風)에 잘 걸린다.
두부에는 푸린 purine [요산 화합물의 원질(原質)]이 많이 들어 있다.
푸린대사가 비정상적인 사람이나 콩팥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이 두부를 먹으면 통풍이 생긴다.
셋째, 요오드 iodine 결핍으로 갑상선 질병에 잘 걸린다.
두부의 원료인 콩에는 사포닌 saponin(e) [식물 배당체(配糖體)로서 비누처럼 거품이 생김] 이 많이 들어 있는데 콩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은 몸속에서 요오드를 빨리 내보내게 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므로 두부를 먹으면 요오드결핍증으로 인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저하증, 갑상선종대, 갑상선암 같은 갑상선 질병에 쉽게 걸린다.
넷째, 신장(腎臟) 기능이 나빠진다.
식물성단백질은 대부분이 대사 작용을 거쳐 질소를 함유한 노폐물이 되어 신장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나이가 많아지면 신장에서 노폐물을 걸러내는 기능이 약해진다.
두부를 많이 먹으면 몸 속에 질소가 들어 있는 노폐물이 많아져서 신장에 부담이 늘어나고 신장 기능이 쉽게 나빠진다.
다섯째, 남자와 여자의 생육 기능을 망가뜨린다.
영국의 학자들은 동물실험을 통해 콩에 들어 있는 염료리그닌이라는 성분이 고환에서 정자(精子)를 만드는데 피해를 끼치므로 남성들의 생육 기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콩 제품을 많이 먹으면 생육 기능에 남성들보다 더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염료리그닌은 정자가 여성의 몸속으로 들어오면 정자를 죽이거나 기형으로 만들어 정자의 활동능력을 떨어뜨린다.
남자 여자 할 것 없이 자녀를 가지려면 두부나 두유 같은 콩으로 만든 제품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여성들은 배란기에 콩으로 만든 제품을 먹지 말아야 한다.